this, Object, prototype, scope 개념 정리

    다음 책들을 읽으며 this, Object, prototype, scope에 대해 내용입니다.

    • You don’t know JS - this와 객체 프로토타입(카일심슨)
    • 코어 자바스크립트(정재남)

    this

    this의 유용함과 사용 동기

    • this를 안 쓰고 함수에 콘텍스트 객체를 명시(매개변수)할 수도 있으나, 암시적인 객체 레퍼런스를 함께 넘기는 this 체계가 API 설계상 좀 더 깔끔하고 명확하며 재사용하기 쉽다.
    • 여러 함수가 적절한 콘텍스트 객체를 자동 참조하는 this 구조가 편리하다.

    this에 대한 오해

    • 함수는 this로 자기 참조를 할 수 없다.
    • this는 함수의 렉시컬 스코프를 참조하지 않는다(연결 통로 따윈 없어).

    this 바인딩

    작성 시점이 아닌 런타임 시점에 바인딩 된다.

    실행 컨텍스트가 생성되는 함수가 호출 될 때, this가 함께 결정된다.

    • 어떤 함수를 호출하면 활성화 레코드(Activation Record, = 실행 컨텍스트)가 만들어진다.

      • 활성화 레코드에 함수가 호출된 근원인 CallStack 과 호출 방법, 전달된 인자 등의 정보가 담겨있다.
      • this 레퍼런스는 그중 하나로, 함수가 실행되는 동안 이용할 수 있다.

    함수 선언 위치와 상관없다.

    this 바인딩 규칙

    this 바인딩 규칙 - 1. 기본 바인딩

    • 단독 함수 실행에 관한 규칙으로 나머지 규칙에 해당하지 않을 경우 적용되는 this의 기본 규칙이다.
    • non-strict mode인 경우, 전역 객체가 기본 바인딩 대상이다.
    function foo() {
    	console.log(this.a) // this는 전역 객체를 참조한다.
    }
    
    var a = 2
    
    foo() // 2
    • strict mode인 경우, 전역 객체가 기본 바인딩 대상에서 제외된다. undefined로 바인딩된다.

    this 바인딩 규칙 - 2. 암시적 바인딩

    • 호출부에 콘텍스트 객체가 있는지, 객체의 소유/포함 여부를 확인한다.

      • 호출부는 obj 콘텍스트로 foo()를 참조하므로 obj 객체는 함수 호출 시점에 함수의 레퍼런스를 ‘소유’하거나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function bar() {
    	console.log(this.a)
    	// foo() 호출 시 this는 obj이니 this.a는 obj.a가  된다.
    }
    
    const obj = {
    	a: 2,
    	foo: bar,
    }
    
    obj.foo() // 호출부에 콘텍스트 객체(obj)가 있다.
    // 결과 : 2
    • 암시적 소실
    • 암시적으로 바인딩 된 함수(아래에서 const baz = obj.foo;)에서 바인딩이 소실되는 경우이다. 엄격 모드 여부에 따라 전역 객체나 undefined 중 한 가지로 기본 바인딩된다.
    // 비엄격모드인 경우
    function bar() {
    	console.log(this.a)
    }
    
    const obj = {
    	a: 2,
    	foo: bar,
    }
    
    // var로 전역 스코프에서 선언하면 변수명과 같은 이름의 전역 객체 프로퍼티가 생성된다.
    // window.a 는 'hello'
    // 참고로 const는 전역 객체 프로퍼티로 생성되지 않음
    var a = "hello"
    
    const baz = obj.foo // bar 함수를 참조
    
    baz() // 전역 스코프에서 함수를 호출하므로 기본 바인딩 적용된다.
    // 결과 : 'hello'
    • 콜백 함수를 인자로 전달하는 것도 암시적인 할당으로서 바인딩이 소실된다.
    function bar() {
    	console.log(this.a)
    }
    
    function doFoo(fn) {
    	fn() // bar() 호출, 기본 바인딩
    }
    
    const obj = {
    	a: 2,
    	foo: bar,
    }
    
    var a = "전역입니다"
    
    doFoo(obj.foo) // bar 함수를 인자로 넘김
    // 결과 : '전역입니다'

    this 바인딩 규칙 - 3. 명시적 바인딩

    function foo() {
    	console.log(this.a)
    }
    
    const obj = {
    	a: 2,
    }
    
    foo.call(obj) // 2
    • call()apply() 메서드를 사용하여 명시적 바인딩한다.
    • 두 메서드는 바인딩 할 객체를 첫 번째 인자로 받아, 함수 호출 시 이 객체를 this로 지정한다.
    • call 메서드는 함수를 즉시 실행하는 명령이다.
    • apply 메서드는 call 메서드와 기능적으로 완전히 동일하나, 두 번째 인자를 배열로 받는다는 점이 다르다.
    • 그러나 명시적으로 바인딩 해도 this 바인딩이 도중에 소실되거나 프레임워크가 임의로 덮어써 버리는 문제는 해결할 수 없다.
    • 하드 바인딩
    • 함수(bar) 내부에서 명시적 바인딩하는 것을 하드 바인딩이라 한다. 이제 함수(bar) 어떻게 호출하든 이 함수는 항상 obj를 바인딩하여 foo를 실행한다.
    function foo() {
    	console.log(this.a)
    }
    
    const obj = {
    	a: 2,
    }
    
    const bar = function() {
    	foo.call(obj) // 하드 바인딩
    }
    
    bar()
    • 이러한 패턴은 ES5 이후 bind() 메서드로서 내장되었다.

      • 상위 컨텍스트의 this를 내부함수나 콜백 함수에 전달한다.
    function foo(something) {
    	console.log(this.a, something)
    	return this.a + something
    }
    
    const obj = {
    	a: 2,
    }
    
    const bar = foo.bind(obj) // 하드 바인딩, bind는 호출하지 않고 반환만 한다.
    
    const b = bar(3) // 2, 3
    console.log(b) // 5
    const obj = {
    	logThis: function() {
    		console.log(this)
    	},
    	logThisLater1: function() {
    		setTimeout(this.logThis, 500) // 콜백 함수의 this는 전역 객체
    	},
    	logThisLater2: function() {
    		setTimeout(this.logThis.bind(this), 500) // 콜백 함수의 this를 상위 컨텍스트인 obj로 하드 바인딩
    	},
    }
    
    obj.logThis() // obj {logThis: ƒ, logThisLater1: ƒ, logThisLater2: ƒ}
    obj.logThisLater1() // Window {window: Window, self: Window, document: document, name: '', location: Location, …}
    obj.logThisLater2() // obj {logThis: ƒ, logThisLater1: ƒ, logThisLater2: ƒ}

    this 바인딩 규칙 - 4. new 바인딩

    • 생성자란?

      • 자바스크립트 생성자는 앞에 new 연산자가 있을 때 호출되는 일반 함수 에 불과하다.
    • new는 함수 호출 시 this를 새 객체와 바인딩 하는 방법이며, 이것이 new 바인딩이다.

    this 확정 규칙(우선순위대로 정리)

    1. [new 바인딩] new로 함수를 호출했는가? → 맞으면 새로 생성된 객체가 this다

    const bar = new foo() // bar가 foo()의 this다

    2. [명시적 바인딩] call, apply, bind로 함수를 호출했는가? → 맞으면 명시적으로 지정된 객체가 this다

    const bar = foo.call(obj2) // obj2가 foo()의 this다

    3. [암시적 바인딩] 함수를 콘텍스트(객체를 소유/포함하는 형태)로 호출했는가? → 맞으면 이 콘텍스트 객체가 this다

    const bar = obj1.foo() // obj1이 foo()의 this다

    4. [기본 바인딩] 그 외의 경우에 this는 기본값으로 세팅된다

    const bar = foo()
    // strict mode이면, undefined가 foo()의 this다.
    // non-strict mode이면, window가 foo()의 this다.

    상황에 따른 this 분류 재정리

    1. 전역 공간에서의 this

    • 전역 공간에서 this는 전역 객체를 가리킨다.

    2. 메서드로서 호출할 때 그 메서드 내부에서의 this

    • 함수 호출 시 그 함수 이름 앞에 객체가 명시돼 있는 경우 메서드로 호출한 것이고, 나머지는 함수로 호출한 것이다.
    • 메서드 내부에서의 this는 메서드를 호출한 객체(함수명 앞의 객체)이다.

    3. 함수로서 호출할 때 그 함수 내부에서의 this

    • 함수 내부에서의 this

      • 함수로서 호출하는 것은 호출 주체를 명시하지 않은 것이므로, 이렇게 지정되지 않은 경우 this는 전역 객체를 바라본다.
    • 메서드의 내부함수에서의 this

      • 마찬가지로 해당 함수를 호출하는 구문 앞에 점 또는 대괄호 표기가 없으므로 함수로서 호출이며 this는 전역 객체를 가리킨다.

    4. this를 바인딩하지 않는 함수 - 화살표함수

    • 이처럼 함수 내부에서 this가 전역객체를 바라보는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this를 바인딩하지 않는 화살표 함수가 새로 도입됐다.
    • 화살표 함수는 상위 스코프의 this를 그대로 활용한다.

    5. 콜백 함수 호출 시 그 함수 내부에서의 this

    • 콜백 함수의 제어권을 가지는 함수가 콜백 함수에서의 this를 무엇으로 할지를 결정하며, 특별히 정의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함수처럼 전역객체를 바라본다.

      • addEventListener 메서드는 콜백 함수를 호출할 때 자신의 this(메서드명 점 앞 부분)를 상속하도록 정의돼 있다.

    6. 생성자 함수 내부에서의 this

    • 생성자로서 호출된 경우 내부에서의 this는 곧 새로 만들 구체적인 인스턴스 자신이 된다.
    • 요소를 순회하면서 콜백 함수를 반복 호출하는 내용의 일부 메서드는 별도의 인자로 this를 받기도 한다.
    Array.prototype.forEach(callback[, thisArg])
    Array.prototype.map(callback[, thisArg])
    Array.prototype.filter(callback[, thisArg])
    Array.prototype.some(callback[, thisArg])
    Array.prototype.every(callback[, thisArg])
    Array.prototype.find(callback[, thisArg])
    Array.prototype.findIndex(callback[, thisArg])
    Array.prototype.flatMap(callback[, thisArg])
    Array.prototype.from(arrayLike[, callback[, thisArg]])
    
    Set.prototype.forEach(callback[, thisArg])
    Map.prototype.forEach(callback[, thisArg])

    this 무시하는 바인딩 예외

    • call, apply, bind 메서드에 첫 번째 인자로 null 또는 undefined를 넘기면 this 바인딩이 무시되고 기본 바인딩 규칙이 적용된다.

      function foo() {
      	console.log(this.a)
      }
      
      var a = 2
      
      foo.call(null) // 2
    • 그런데 왜?

      • 함수 호출 시 인자를 전달(커링)하려고 하는데, 첫 번째 인자로 this 바인딩을 지정해야 해서 형식상 null 정도의 값을 자리 끼우는 용으로 둔다.
    • this 바인딩을 신경 쓰지 않고 싶으면 내용이 하나도 없으며 전혀 위임되지 않은 객체(Object.create(null))를 만들어 사용한다. 이는 Object.prototype으로 위임하지 않으므로 {} 보다 더 텅 빈 객체이다.

      function foo(a, b) {
      	console.log("a:", a, ", b:", b)
      }
      
      // 빈 객체를 만든다.
      // ø는 option + o 를 통해 입력 가능하다.
      const ø = Object.create(null)
      
      // 인자들을 배열 형태로 쭉 펼친다
      foo.apply(ø, [2, 3]) // a: 2 , b: 3
      // ES6부터는 spread 연산자를 통해 위 코드처럼 apply를 사용하지 않고도 인자를 배열 형태로 펼칠 수 있다.
      foo(...[2, 3]) // a: 2 , b: 3
      
      // 'bind()'로 커링한다
      const bar = foo.bind(ø, 2)
      bar(3) // a: 2 , b: 3

    어휘적(렉시컬) this(화살표 함수)

    일반적 함수는 위 4가지 규칙을 준수하나, ES6부터 도입된 화살표 함수는 이 규칙들을 따르지 않고 렉시컬 스코프로 this를 바인딩한다.

    • 화살표 함수는 Enclosing Scope(함수 또는 전역)로부터 this 바인딩을 상속한다.

      • 화살표 함수는 호출될 당시 this를 무조건 어휘적으로 포착한다.
    • 화살표 함수의 기본 기능 또는 아이디와 비슷한 패턴으로 self=this 가 있었다. 둘 중 한 가지만 선택해서 사용한다.
    // self=this 버전
    function foo() {
    	const self = this // 호출될 당시에 this를 어휘적으로 포착한다.
    	setTimeout(function() {
    		console.log(self.a)
    	}, 100)
    }
    
    // 화살표 함수 버전
    function foo() {
    	setTimeout(() => {
    		// 호출될 당시에 this를 어휘적으로 포착한다.
    		console.log(this.a)
    	}, 100)
    }
    
    const obj = {
    	a: 2,
    }
    
    foo.call(obj) // 2

    call/apply 활용

    1. 유사배열객체에 배열 메서드를 적용

    Array.prototype.push.call(obj, "d") // 객체에 배열 push 메서드를 이용해 요소 추가
    
    const nodeArr = Array.prototype.slice.call(nodeList) // 유사배열객체를 배열로 전환

    2. 생성자 내부에서 다른 생성자를 호출

    • 생성자 내부에서 다른 생성자와 공통된 내용이 있으면 call/ apply를 사용해 다른 생성자를 호출하여 간단히 반복을 줄일 수 있다.
    function Person(name) {
    	this.name = name
    }
    
    function Student(name, school) {
    	Person.call(this, name)
    	this.school = school
    }

    3. 여러 인수를 묶어 하나의 배열로 전달하고 싶을 때 - apply 활용

    const max = Math.max.apply(null, numbers) // this는 null로 자리만 채움
    
    const max = Math.max(...numbers) // 참고로 ES6부터는 spread 연산자 활용하여 더 쉽게

    객체

    객체는 키/값의 쌍을 모아 놓은 저장소다.

    객체는 선언적(리터럴) 형식 또는 생성자 형식으로 정의한다. 대부분 리터럴 형식으로 객체를 생성한다.

    // 리터럴 형식
    const myObj = {
    	name: "marco",
    	age: 100,
    }
    
    // 생성자 형식
    const myObj = new Object()
    myObj.name = "marco"
    myObj.age = 100

    자바스크립트의 객체

    • 자바스크립트에는 타입으로 null, undefined, boolean, number, string, object, symbol 7개가 있다.

      • 이 중 null, undefined, boolean, number, string은 단순 원시 타입으로서 객체가 아니다.
    • function은 객체의 하위 타입으로서 복합 원시 타입이다.

      • 자바스크립트 함수는 기본적으로는 (호출 가능한 특성이 고정된) 객체이므로 ‘일급’이며, 다른 일반 객체와 똑같이 취급된다.
    • 참고로 자바스크립트 배열 도 객체의 일종이다.
    • 내장 객체: String, Number, Boolean, Object, Function, Array, Date, RegExp, Error

      • 이들은 내장 함수이며, 생성자(new가 앞에 붙으면)로 사용되면 주어진 하위 타입의 새 객체를 생성한다.
    • String, Number, Boolean의 경우 생성자 형식보다는 리터럴 형식(불변값)을 사용하는 것이 낫다. 왜냐하면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상황에 맞게 원시 값을 해당 객체로 자동 강제변환하므로 명시적으로 객체를 생성할 필요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 하지만 예외적으로 Date 값은 리터럴 형식이 없어서 반드시 생성자 형식으로 생성해야 한다.
    • Object, Array, Function, RegExp는 형식(리터럴/생성자)과 무관하게 모두 객체다. 그래도 간단한 리터럴 형식을 더 많이 쓴다.
    • 함수 표현식을 객체 리터럴의 한 부분으로 선언해도 이 함수가 저절로 객체에 달라붙는 건 아니며 해당 함수 객체를 참조하는 레퍼런스가 하나 더 생기는 것 뿐이다.

    프로퍼티 서술자(property descriptor)

    ES5부터 모든 프로퍼티는 프로퍼티 서술자로 표현된다.

    • Object.getOwnPropertyDescriptor()
    const myObject = {
    	a: 1,
    }
    
    Object.getOwnPropertyDescriptor(myObject, "a")
    
    // {value: 1, writable: true, enumerable: true, configurable: true}
    • Object.defineProperty()
    Object.defineProperty(myObject, "b", {
    	value: 2,
    	writable: false,
    	enumerable: true,
    	configurable: true,
    })
    // {a: 1, b: 1}

    프로퍼티 서술자 속성

    • writable

      • false인 값을 수정하려고 하면 조용히 실패하며 엄격 모드에선 에러가 난다.
    • configurable

      • true면 defineProperty()로 프로퍼티 서술자를 변경할 수 있다.
      • 한번 false가 되면 다시 true로 돌아올 수 없으며, 기존 프로퍼티 삭제도 금지된다.
    • enumerable

      • 객체 루프 프로퍼티를 열거하는 구문에서 해당 프로퍼티의 표출 여부를 나타낸다.
      • false로 지정된 프로퍼티는 루프 구문에서 감춰진다(접근할 수는 있다).
      • true로 바꾸면 다시 루프 구문에서 모습을 드러낸다. 기본값이 true이다.

    프로퍼티 불변성

    • 객체 상수

      • writable: falseconfigurable: false 를 같이 쓰면 객체 프로퍼티를 상수처럼 쓸 수 있다.
    • Object.preventExtensions()

      • 프로퍼티 추가를 금지한다.
    • Object.seal()

      • 프로퍼티 추가, 재설정, 삭제를 금지한다
    • Object.freeze()

      • 프로퍼티 추가, 재설정, 삭제, 값 수정을 금지한다.
      • 가장 높은 단계의 불변성을 적용하며, 객체와 직속 프로퍼티에 어떤 변경도 원천봉쇄하는 것이다.
      • 하지만 이 객체가 참조하는 다른 객체의 내용까지 봉쇄하는 것은 아니다(얕은 불변성).

        • 만약 강한 불변성을 적용하려고 한다면, 객체에 대해 Object.freeze()를 호출하여 다음 해당 객체가 참조하는 모든 객체를 재귀적으로 반복하면서 Object.freeze()를 호출하여 객체를 완전히 동결할 수 있다.

    접근 서술자(Access Descriptor)

    프로퍼티가 게터나 세터일 수 있게 정의한 것을 접근 서술자라 한다.

    • 접근 서술자에서 프로퍼티의 value와 writable 속성은 무시되며, 대신 configurable, enumerable, get, set 속성이 중요하다.
    • 게터와 세터를 한쪽만 선언하면 예상외의 결과가 나올 수 있으므로 항상 둘 다 선언하는 것이 좋다.
    const myObject = {
    	get a() {
    		return 2
    	},
    }
    myObject.a // 2
    
    Object.defineProperty(myObject, "b", {
    	get: function() {
    		return this.a * 2
    	},
    	enumerable: true,
    })
    myObject.b // 4

    존재 확인

    • in 연산자는 어떤 프로퍼티가 해당 객체에 존재하는지 아니면 이 객체의 [[Prototype]] 연쇄를 따라갔을 때 상위 단계에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 hasOwnProperty() 는 단지 프로퍼티가 객체에 있는지만 확인하고 [[Prototype]] 연쇄는 찾지 않는다.
    • propertyIsNumberable() 은 어떤 프로퍼티가 해당 객체의 직속 프로퍼티인 동시에 enumerable: true 인지 검사한다.
    • Object.keys() 는 열거 가능한 프로퍼티를 배열 형태로 반환한다.
    • Object.getOwnPropertyNames() 는 열거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객체 있는 열거 가능한 모든 프로퍼티를 배열 형태로 반환한다.

    순회

    • forEach()는 배열 전체 값을 순회하지만 콜백 함수의 반환 값은 무시한다.
    • every() 는 배열 끝까지 또는 콜백 함수가 false를 반환할 때까지 순회한다.
    • some() 은 배열 끝까지 또는 콜백 함수가 truthy 를 반환할 때까지 순회한다.
    • for..in 루프 는 실제로 열거 가능한 프로퍼티만 순회하고 그 값을 얻으려면 일일이 프로퍼티에 접근해야 하므로 일찌감치 순회를 끝내는 데 쓰인다.
    • for..of 루프 는 순회할 원소의 iterator object(명세상 @@iterator라는 기본 내부 함수 존재)가 있어야 한다. 순회당 한 번씩 이 iterator object의 next() 메서드를 호출하여 연속적으로 반환 값을 순회한다.
    const arr = [1, 2, 3]
    
    // Symbol.iterator 심볼로 객체 내부 프로퍼티인 @@iterator에 접근할 수 있다
    const it = arr[Symbol.iterator]() // iterator object를 반환한다
    it.next() // {value: 1, done: false}
    it.next() // {value: 1, done: false}
    it.next() // {value: 1, done: false}
    it.next() // {value: 1, done: false}

    클래스와 객체의 혼합

    클래스 이론

    객체(또는 클래스)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데이터는 자신을 기반으로 실행되는 작동과 연관되므로 데이터와 작동을 함께 잘 감싸는 것(캡슐화)이 올바른 설계라고 강조한다.

    • 클래스는 특정 자료 구조를 분류(Classify)하는 용도로 쓴다.
    • 자바 등 몇몇 언어는 선택의 여지 없이 만물이 다 클래스다.
    • 다형성

      • 다형성(Polymorphism)은 클래스의 핵심 개념으로 부모 클래스에 뭉뚱그려 정의된 작동을 자식 클래스에서 좀 더 구체화하여 오버라이드(재정의)하는 것을 뜻한다.

    자바스크립트의 클래스는 Syntactic Sugar이다

    자바스크립트에도 클래스 같은 구문이 있어 보이나, 개발자들이 클래스 디자인 패턴으로 코딩할 수 있도록 자바스크립트 체계를 억지로 고친 것에 불과하다.

    (상대적) 다형성

    • 상대적이란 관점에서 메서드가 상위 수준 체계에서 다른 메서드를 참조할 수 있게 해주는 아이디어다.
    • 클래스를 상속하면 자식 클래스에서는 자신의 부모 클래스를 가리키는 상대적 레퍼런스가 주어지는데, 바로 이 레퍼런스를 보통 super라고 한다.
    • 자식이 부모에게 상속받은 메서드를 오버라이드하면 원본 메서드와 오바라이드된 메서드는 각자의 길을 걷게 되며 양쪽 다 개별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자바스크립트엔 인스턴스로 만들 ‘클래스’란 개념 자체가 없고 오직 객체만 있다

    • 자바스크립트에서 객체는 다른 객체에 ‘복사’되는 게 아니라 서로 연결 된다.

      • 반면, 다른 언어에서 클래스는 ‘복사’를 의미한다.

    프로토타입

    자바스크립트 객체는 내부 프로퍼티인 [[Prototype]]이 있고, 이는 다른 객체를 참조(연결)하는 단순 레퍼런스로 사용된다

    • 객체 프로퍼티 참조 시 [[Get]] 이 호출되는데, [[Get]]은 기본적으로 객체 자체에 해당 프로퍼티가 존재하는지 찾아보고 존재하면 그 프로퍼티를 사용한다.
    • 하지만 [[Get]]은 주어진 프로퍼티를 객체에서 찾지 못하면 곧바로 [[Prototype]] 링크를 따라가서 찾는다. 일치하는 프로퍼티명이 나올 때까지 아니면 [[Prototype]] 연쇄가 끝날 때까지 같은 과정이 계속된다.
    • 연쇄 끝(Object.prototype)에 이르러서도 프로퍼티가 발견되지 않으면 [[Get]]은 결괏값으로 undefined를 반환한다.
    const obj1 = {
    	a: 2,
    }
    
    const obj2 = Object.create(obj1)
    
    obj2.a // 2

    자바스크립트는 클래스라는 추상화된 패턴이나 설계가 전혀 없이, 객체만 있다

    즉, 클래스 없이 곧바로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객체는 자신의 작동을 손수 정의한다.

    자바스크립트는 클래스의 상속과 달리 복사 과정이 없고, 그저 공용 객체에서 [[Prototype]] 으로 연결된 객체가 생성됨으로써 객체들이 서로 끈끈하게 연결되어 있다.

    • constructor(생성자)

      • 이 프로퍼티는 인스턴스가 자신의 생성자 함수가 무엇인지를 알고자 할 때 필요한 수단이다.
    function Foo() {}
    
    Foo.prototype.constructor === Foo // true
    
    const a = new Foo()
    
    a.__proto__ === Foo.prototype // true
    
    // a에는 constructor 프로퍼티가 없으므로 프로토타입 연쇄를 따라 올라간다.
    a.constructor === a.__proto__.constructor // true
    a.__proto__.constructor === Foo.prototype.constructor // true
    
    // FFoo.prototype 객체에는 기본적으로 공용 프로퍼티인 constructor가 세팅되는데,
    // 이는 객체 생성과 관련된 함수(Foo)를 다시 참조하기 위한 레퍼런스다.
    Foo.prototype.constructor === Foo // true
    • Foo.prototype 객체에는 기본적으로 공용 프로퍼티인 constructor가 세팅되는데, 이는 객체 생성과 관련된 함수(Foo)를 다시 참조하기 위한 레퍼런스다.

      • 또한, 생성자 호출(new Foo())로 생성한 객체(a)도 constructor 프로퍼티를 통해 ‘자신을 생성한 함수(Foo)’를 ‘임의로’ 가리킬 수 있다.
    • 하지만 Foo에 의해 생성된 객체(a)에 constructor라는 프로퍼티가 실재하진 않는다. 실은 constructor 역시 Foo.prototype에 위임된 레퍼런스이다. 편리해 보이지만 보안측면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 만약 Foo.prototype이 변경되면 Foo.prototype.constructor가 없어지며 a.constructor는 결국 Object.prototype 객체의 constructor 프로퍼티에 다다르며 내장 Object() 함수를 가리키게 된다. 이처럼 생성자와 프로토타입의 용어 및 관계는 느슨하여 나중에는 부합하지 않을 수 있다.
    • 즉, “생성자”는 “생성됨”을 의미하지 않는다. 임의의 객체 프로퍼티 constructor는 매우 불안정하고 신뢰할 수 없는 레퍼런스이므로 코드에서 직접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 Foo는 ‘생성자’가 아닌 그냥 일반함수이며, 앞에 new를 붙여 호출하는 순간 이 함수는 ‘생성자 호출’을 하는 것이다. (new 키워드는 함수 호출의 원래 수행 작업 외에 객체 생성 작업을 추가하는 지시자다)
    • __proto__ 는 생략 가능한 프로퍼티이다. 따라서 생성자 함수의 prototype에 어떤 메서드나 프로퍼티가 있다면 인스턴스에서도 마치 자신의 것처러 해당 메서드나 프로퍼티에 접근할 수 있다.
    • Object.setPrototypeOf()
    // 기존 Bar.prototype을 수정한다
    Object.setPrototypeOf(Bar.prototype, Foo.prototype)
    • instanceof

      • instanceof 연산자는 a의 [[Prototype]] 연쇄를 순회하면서 Foo.prototype이 가리키는 객체가 있는지 조사한다.
      • 이는 함수에 대해 주어진 객체의 계통만 확인할 수 있다.
      • 2개의 객체 간의 연결 관계는 확인할 수 없다.
      • 괜스레 클래스와 뭔가 관련이 있는 것 같은 착각을 줄 수 있어 사용하지 않는 편이다.
      일반객체 instanceof 함수
      a instanceof Foo // true
    • isPrototypeOf()

      // a의 전체 [[Prototype]] 연쇄에서 Foo.prototype이 있는지 확인한다.
      Foo.prototype.isPrototypeOf(a);
      
      // c의 전체 [[Prototype]] 연쇄에서 b가 있는지 확인한다.
      b isPrototypeOf(c);
    • Object.getPrototypeOf()

      • 객체 [[Prototype]]을 조회
      Object.getPrototypeOf(a) // a.__proto__ 및 Foo.prototype과 같다
    • __proto__

      • 던더 프로토라고 불리며, 객체의 [[Prototype]] 링크이다. 프로퍼티처럼 불리지만 객체에 실재하는 프로퍼티가 아니고 게터/세터에 가깝다. (하지만 읽기 전용으로 다루는 것이 최선이다)
    • Object.create()

      • Object.create()를 통해 새로운 객체(bar)를 생성하고, 주어진 객체(foo)를 새로 생성한 객체(bar)에 연결할 수 있다. 이처럼 이것만으로도 복잡하게 하지 않고도 객체를 연결할 수 있다.
      • 두 객체를 연결하는 데 클래스가 필수인 게 아니다. 객체의 위임 연결만 신경 쓰면 되는데, Object.create()가 클래스 뭉치 없이도 처리할 수 있다.
      const bar = Object.create(foo)

    프로토타입처럼, 어떤 객체를 다른 객체와 연결하면 어떤 이점이 있는가? 왜 이러한 연결망을 구축하려고 한 걸까?

    프로토타입 체계는 한 객체가 다른 객체를 참조하기 위한 내부 링크다. 자바스크립트의 무한한 가능성을 이끌어 낼 가장 중요한 핵심 기능이자 실제적인 체계는 전적으로 ‘객체를 다른 객체와 연결하는 것’에서 비롯된다.

    프로토타입 체인

    • 어떤 데이터의 __proto__ 프로퍼티 내부에서 다시 __proto__ 프로퍼티가 연쇄적으로 이어진 것을 프로토타입 체인이라 하고, 이 체인을 따라가며 검색하는 것을 프로토타입 체이닝이라 한다.

      • 모든 생성자 함수는 함수이기 때문에 Function 생성자 함수의 prototype에 연결된다. 즉, 생성자 함수의 최상위 [[Prototype]] 연쇄는 Function.prototype이다.
      • 모든 prototype은 객체이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Object 생성자 함수의 prototype에 연결된다. 즉, 객체의 최상위 [[Prototype]] 연쇄는 Object.prototype이다.
    • 객체 전용 메서드들은 Object.prototype이 아닌 Object에 스태틱 메서드로 부여됐다. 왜냐하면 객체에서만 사용할 메서드를 Object.prototype 내부에 정의하면, 모든 데이터의 최상위 존재이므로 다른 데이터 타입도 해당 메서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 반대로 toString, hasOwnProperty, valueOf, isPrototypeOf 등은 모든 데이터가 마치 자신의 메서드인 것처럼 호출함 수 있는 범용성이 있어 Object.prototype에 정의됐다.

    스코프

    스코프는 식별자명으로 변수를 찾기 위한 규칙의 집합이다.

    컴파일러

    자바스크립트는 엔진 내부에서 실행중 컴파일이 필요한 경우에 내부에서 컴파일하므로 컴파일러 언어라고 말할 수도 있다.

    • [참고] 컴파일러 언어와 인터프리터 언어의 가장 큰 차이점은 pre-processing(컴파일) 유무다.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컴파일레이션을 미리 수행하지 않아서 최적화할 시간이 많지 않다. 일반적으로 코드가 실행되기 겨우 수백만 분의 일초 전에 컴파일레이션을 수행한다.

    즉, 어떤 자바스크립트 조각이라도 실행되려면 먼저(보통 바로 직전에) 컴파일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컴파일레이션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Tokenizing / Lexing

      • 문자열을 나누어 토큰이라 불리는 해당 언어에 의미 있는 조각으로 만드는 과정이다.
      • var a=2; -> var , a , = , 2 , ;
    2. Parsing

      • 토큰 배열을 프로그램의 문법 구조를 반영하여 중첩 원소를 갖는 트리 형태로 바꾸는 과정이다. 파싱의 결과로 만들어진 트리를 AST(Abstract Syntax Tree, 추상 구문 트리)라 부른다.
    3. Code-Generation

      • AST를 컴퓨터에서 실행 코드로 바꾸는 과정이다.

    중첩 스코프

    • 대상 변수를 현재 스코프에서 발견하지 못하면 엔진은 다음 바깥의 스코프로 넘어가는 식으로 변수를 찾는다. 글로벌 스코프에 도달할 때까지 검색을 계속한다.

    에러

    ReferenceError

    • 스코프에서 대상을 찾았는지와 관계있다.
    • LHS, RHS라는 이 두 가지의 검색 방식은 변수가 아직 선언되지 않았을 때 서로 다르게 동작한다.
    • RHS: RHS 검색이 변수를 찾지 못하면 ReferenceError가 발생한다.
    function foo(a) {
    	console.log(a + b) // b에 대한 RHS 검색 결과, 찾지 못함
    	b = a
    }
    
    foo(2) // Uncaught ReferenceError: b is not defined
    • LHS: LHS 검색이 변수를 찾지 못하고 최상위 층인 글로벌 스코프에 도착하면, 글로벌 스코프는 엔진이 검색하는 이름을 가진 새로운 변수를 생성하여 엔진에게 넘겨준다.

      • 그러나 strict mode인 경우, LHS도 RHS의 경우와 비슷하게 ReferenceError를 발생시킨다.
    function foo(a) {
    	b = a // b에 대한 LHS 검색 결과, 찾지 못하여 전역에 새 변수 생성
    	console.log(a + b)
    }
    
    window.b // 값은 2
    foo(2) // 4

    TypeError

    • 스코프 검색은 성공했으나 결괏값을 가지고 적합하지 않거나 불가능한 시도를 한 경우이다.

      • 예를 들어, 함수가 아닌 값을 함수처럼 실행하거나 null이나 undefined 값을 참조할 때 발생하는 에러다.

    스코프의 두 가지 작동 방식

    • 동적 스코프

      • Bash Scripting이나 Perl의 일부 모드와 같은 몇몇 언어에서 사용하는 방식
    • 렉시컬 스코프

      • 다른 방식보다 훨씬 일반적이고 다수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하는 방식이다.(자바스크립트)

    렉시컬 스코프

    • 렉시컬 스코프는 렉싱 단계에 정의되는 스코프다. 즉, 렉시컬 스코프는 개발자가 코드를 짤 때 함수를 어디에 선언하는가에 따라 정의되는 스코프다. 함수가 스코프 버블을 만든다.
    • 컴파일레이션의 렉싱 단계에서, 모든 식별자가 어디서 어떻게 선언됐는지 파악하여 실행 단계에서 어떻게 식별자를 검색할지 예상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렉시컬 스코프 속이기

    런타임에 스코프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렉시컬 스코프를 만드는 방법으로 eval() 과 with 모두 원래 작성된 렉시컬 스코프를 속일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성능상 적절하지 않으므로 렉시컬 스코프 속이기는 하지 않는 것이 좋다.

    • 왜냐하면 최적화가 의미 없어지기 때문이다.

      •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컴파일레이션 단계에서 상당수의 최적화 작업을 진행한다. 이 최적화의 일부분이 하는 핵심 작업은 렉싱된 코드를 분석하여 모든 변수와 함수 선언문이 어디에 있는지 파악하고 실행 과정에서 식별자 검색을 더 빠르게 하는 것이다.
      • 그런데 eval()이나 with가 코드에 있다면 엔진에 미리 확인해둔 확인자의 위치가 틀릴 수 있게 되어, 대다수 최적화가 의미 없지기 때문이다.

    함수 스코프 vs 블록 스코프

    • 자바스크립트는 함수 기반 스코프를 사용한다.

    함수만 버블을 생성하는가? 그렇지 않다

    • 함수 스코프는 해당 스코프 내부에 있는 모든 식별자(심지어 중첩된 스코프 내부)에 접근할 수 있다. 이런 방식은 유용하지만, 스코프 전체에서 변수가 살아있다는 점이 예상치 못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일반 스코프에 숨기 - 왜 스코프를 이용해 숨기는 방식을 이용해야 하는가?

    • ‘최소 권한(또는 노출)의 원칙’에 따라, 모듈/객체의 API와 같은 소프트웨어 설계 시 필요한 것만 최소한으로 남기고 나머지는 숨기는 것이 좋다.
    • 같은 이름을 가졌지만 다른 용도를 가진 두 식별자가 충돌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다.
    • 따라서 감추고 싶은 변수나 함수 선언문을 함수로 감싸 바깥 스코프로부터 함수의 스코프 안에 숨길 수 있다.
    • 스코프 역할을 하는 함수

      • 둘러싼 스코프를 오염시키지 않기 위해, 함수를 이름 없이 선언하고 자동으로 실행하게 한다면, 더 이상적일 것이다.
      const a = 2
      
      // 참고로 ‘function’이 구문의 시작 위치에 있으면 함수 선언문이고, 그렇지 않으면 함수 표현식이다.
      ;(function foo() {
      	// function으로 시작하지 않으므로 함수표현식 (기명 함수표현식이다)
      	const a = 3
      	console.log(a) // 3
      	console.log(foo)
      })()
      
      console.log(a) // 2
      foo() // Uncaught ReferenceError: foo is not defined
    • 위 코드에서 함수 이름 foo는 함수를 둘러싼 스코프에 묶이는 대신 함수 자신의 내부 스코프에 묶였다. 즉, 해당 함수 표현식에서 식별자 foo는 오직 foo 함수 내부 스코프에서만 접근 가능하고 외부 스코프에서는 접근할 수 없다.
    • 이처럼 함수 이름 foo를 자기 내부에 숨기면 함수를 둘러싼 스코프를 불필요하게 오염시키지 않는다.

    함수 표현식은 기명으로 하는 것이 좋다

    익명 함수 표현식에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 익명 함수는 스택 추적 시 표시할 이름이 없어서 디버깅이 더 어렵다.
    • 자기 참조를 해야 하는 예로서 한 번 실행하면 해제되는 이벤트 처리 함수 가 있는데, 익명 함수인 경우 쉽지 않다.
    • 이름이 생략된 익명 함수는, 해당 코드를 이해하는 데 어려울 수 있다.

    함수 표현식 즉시 호출하기(IIFE)

    함수를 () 로 감싸면 함수를 표현식으로 바꾼다. 마지막에 또 다른 () 를 붙이면 함수를 실행할 수 있다.

    • 이런 패턴을 즉시 호출 함수 표현식(IIFE, Immediately Invoked Function Expression) 이라 한다.
    • 익명 IIFE가 흔하긴 하지만, 위에서 설명한 이유처럼 기명 IIFE를 사용하는 것이 더 좋은 습관이다.

    블록 스코프

    블록 스코프는 변수를 최대한 작은 유효 범위를 갖도록 선언하여, 변수가 혼란스럽고 유지 보수하기 어려운 방식으로 재사용되지 않도록 막는 것이 목적이다.

    • 가비지 콜렉션 - 블록 스코프가 유용한 또 다른 이유는 메모리를 회수하기 위한 클로저 그리고 가비지 콜렉션과 관련 있다.
    function process(data) {
    	console.log("processing", data)
    }
    const someReallyBigData = { hi: 1 }
    process(someReallyBigData) // processing {hi: 1}
    // someReallyBigData에 대한 작업 끝남
    
    // 그러나 scroll 함수가 someReallyBigData가 포함된 이 스코프 전체의 클로저를 쥐고 있다.
    window.addEventListener("scroll", function click(evt) {
    	console.log("scrolled", someReallyBigData) // 스크롤할 때마다 scrolled {hi: 1}
    })
    • 명시적으로 블록을 선언하여 변수의 영역을 한정함으로써, 블록 스코프는 엔진에게 사용하지 않는 변수에 대해 더 명료하게 알려주어 효율적으로 가비지 콜렉팅이 진행되게 한다.
    function process(data) {
    	console.log("processing", data)
    }
    
    // 명시적 블록 스코프으로 가두기
    {
    	const someReallyBigData = { hi: 1 }
    	process(someReallyBigData) // processing {hi: 1}
    	// someReallyBigData에 대한 작업 끝남
    }
    
    window.addEventListener("scroll", function click(evt) {
    	console.log("scrolled", someReallyBigData) // Uncaught ReferenceError: someReallyBigData is not defined
    })

    자바스크립트는 외견상으로 블록 스코프를 지원하지 않으나, 좀 더 파고들면 다음과 같은 블록 스코프 방법이 있다

    • with, try/catch, let, const

    try/catch

    • catch 부분에 선언된 변수는 catch 블록 스코프에 속한다. 변수 err은 오직 catch 문 안에만 존재하므로 이 외에서 참조하면 오류가 발생한다.
    try {
    	undefined()
    } catch (err) {
    	console.log("err", err)
    }
    
    console.log(err) // Uncaught ReferenceError: err is not defined

    let, const

    • 키워드 let과 const는 선언된 변수를 둘러싼 아무 블록의 스코프에 붙인다. 명시적이진 않지만 let은 선언한 변수를 위해 해당 블록 스코프를 이용한다고 볼 수 있다.
    • let은 for 반복문에서 var 대신 사용하면 좋다.
    var foo = true
    if (foo) {
    	let bar = foo * 2 // const도 마찬가지
    	console.log(bar) // 2
    }
    console.log(bar) // Uncaught ReferenceError: bar is not defined
    • 더 명시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명시적 블록 스코프 스타일로 한번 더 묶어주는 것도 좋다. 이렇게 하면 나중에 리팩토링하면서 if 문의 위치나 의미를 변화시키지 않고도 전체 블록을 옮기기가 쉬워진다.
    var foo = true
    if (foo) {
    	{
    		let bar = foo * 2
    		console.log(bar)
    	}
    }
    console.log(bar)
    • 또한, let과 const를 사용한 선언문은 var와 달리 스코프에서 호이스팅 효과를 받지 않는다(즉, 해당 변수들은 선언문 전에는 명백하게 존재하지 않는다)
    console.log(a)
    const a = 1 // Uncaught ReferenceError: a is not defined
    
    console.log(b)
    var b = 1 // undefined

    호이스팅

    •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코드를 인터프리팅 하기 전에 컴파일 한다.

      • 컴파일레이션 단계 중에는 모든 선언문을 찾아 적절한 스코프에 연결해주는 과정(렉싱)이 있다.
    • var a = 2; 에 대해 엔진은 두 개의 구문으로 본다.

      • var a; 선언문 - 컴파일레이션 단계에서 처리
      • a = 2; 대입문 - 실행 단계에 처리
    console.log(a) // undefined
    var a = 2

    위 코드는 사실 아래와 같이 처리된다.

    var a // 컴파일레이셔인 단계에서 처리하므로, 선언문은 코드의 최상단으로 끌어올려진다.
    console.log(a) // undefined
    a = 2 // 대입문은 실행 단계인 원래 작성된 부분에서 처리된다.

    호이스팅은 스코프별로 작동한다

    • 함수 선언문은 끌어올려진다.
    foo() // undefined
    
    function foo() {}
    • 함수 표현식의 변수 식별자(foo)는 끌어올려지나, 함수 표현식의 이름(bar)은 해당 스코프에서 찾을 수 없다.
    foo() // Uncaught TypeError: foo is not a function
    // foo는 undefined이므로
    bar() // Uncaught ReferenceError: bar is not defined
    // bar는 존재하지 않는다.
    
    var foo = function bar() {}
    • 함수와 변수의 호이스팅 순서

      • 먼저 함수가 끌어올려지고 다음으로 변수가 올려진다.

    참고자료

    • You don’t know JS - this와 객체 프로토타입(카일심슨)
    • 코어 자바스크립트(정재남)

    Written by@Marco

    GitHub